로고 이미지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캠퍼스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911) N
    • 캠퍼스 (304) N
    • 사회 (62)
    • 문화 (146)
    • DGIST 사람들 (94)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58) N
    • 지면보기 (21)
    • 포토 (36)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지면보기] 디지스트 신문 DNA 제 17호 [2024.12.02.]

    지난 2024년 12월 2일에 디지스트신문 DNA가 발행한 제17호 지면신문입니다.

    2025.02.22

  • [인사] 디지스트신문 DNA 2025년 1학기 (2월 22일)

    2025년도 1학기 (2월 22일 자) ‘디지스트신문 DNA’ 인사 배정을 독자 여러분께 알립니다.  ◇ 편집장 ▲권대현◇ 부편집장 ▲노경민 ◇ 총무 ▲한주은 ◇ 교열팀 기자(팀장) ▲박재영◇ 교열팀 기자 ▲김신지 ▲김오민 ▲박건우 ▲신상은 ▲오상규 ▲이채원 ▲이상아 ▲전사빈 ◇ 발행팀 기자(팀장) ▲심수안◇ 발행팀 기자 ▲김선민 ▲박건우 ▲이채원 ◇ 지면신문팀 기자(팀장) ▲김오민◇ 지면신문팀 기자 ▲김신지 ▲박재윤 ▲한주은 ◇ 주간소식팀 기자(팀장) ▲노경민◇ 주간소식팀 기자 ▲김신지 ▲오상규 ◇ 기자교육팀 기자(팀장) ▲이상아◇ 기자교육팀 기자 ▲박재윤 ▲심수안 ▲이동규 ▲전사빈 ▲한주은

    2025.02.22

  • DGIST 학부생 출신 교수 속속 탄생… 김묘정, 유동현, 양준모 동문 연세대, 전남대, 영남대에 각각 임용

    DGIST 학부생 출신 교수가 탄생했다. DGIST 학부 설립 11년차가 된 올해, 그간 국내외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받고 대학원을 졸업한 DGIST 학부 출신 학생이 오는 2025학년도 교수로 임용되는 사례가 속속 생기고 있다. ‘디지스트신문 DNA’와 홍보팀이 공동으로 확인한 결과, DGIST 대학원을 졸업한 동문이 교수로 임용된 사례는 이미 존재했으나 학부 출신 동문이 교수로 임용된 사례는 이번 ▲김묘정 동문(`14) ▲유동현 동문(`14) ▲양준모 동문(`14)이 처음인 것으로 파악됐다.연세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된 김묘정 동문은 지난 2018년 DGIST에서 학사학위를 수여받은 이후 KAIST 대학원을 거치고 미국의 시카고 대학교에서 약 1년간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전남대학교 A..

    2025.02.18

  • 제27회 DLS: 2024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빅터 앰브로스 교수 초청 강연

    지난 10일, E7 대강당(L29)에서 제27회 DGIST Distinguished Lecture Series(DLS)이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2024년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빅터 앰브로스 교수(이하 앰브로스 교수)가 초청 강연을 하였다. 앰브로스 교수는 유전자의 전사 후 조절(post-transcriptional gene regulation)에 중요한 micro RNA(miRNA)를 발견하고 그 역할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앰브로스 교수는 ‘동물의 발달 과정을 조절하는 유전자와 분자적 메커니즘(Genes and Molecular Mechanisms Controlling Animal Development)’을 주제로 자신이 어떻게 miRNA를 발견하고 모델 생물을 통해 그 역할..

    2025.02.17

  • 2025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진행

    2025년도 DGIST 전기 학위수여식이 금일(14일) 대학본부 컨벤션홀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를 통해 ▲박사 60명 ▲석사 72명 ▲학사 128명, 총 260명의 학생이 학위를 수여받았다. 이번 행사는 ▲학사 행렬 ▲학사 보고 ▲졸업식사 ▲학위 수여 ▲졸업생 대표 인사 ▲졸업 선서 ▲원가 제창 ▲축하공연 등 순서로 이어졌다. 바이브컴퍼니 부사장을 거친 송길영 작가가 졸업 축사를 맡았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2025.02.14

  • 총학생회, 일부 교과목 시간표 확정 지연에 문제 제기… 학사팀 “개선하겠다”

    ※   기사 정정 보도 안내지난 2025년 02월 04일, 학사팀이 제출한 언론 조정 요청을 검토한 결과, 보도 내용에서 오류를 확인해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기사 발행 전 총학생회와 소통하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관련 실무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학사팀의 공식 입장으로 잘못 보도하는 등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뒤늦게 파악하고 정정 보도합니다. 독자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 죄송합니다. 학사일정 발표 일부 교과목 시간표 확정 이 회장은 최근 학사일정 발표가 늦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학사팀에 해결 방안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일부 교과목의 시간표 확정이 늦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이에 대해 학사팀에게 문의했다.또한 총학생회는 필수 이수 과목 간 시간표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2025.01.31

  • [논설] 학생 보호보다 본인 업적 기리기?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 “DGIST 합격 통보 실수 사태” 피해 학생 정보 무단 유출 논란

    ※ 본 논설은 “DGIST 합격 통보 실수 사태”와 관련하여 피해 학생의 합격 여부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지 않습니다. 이 글은 사안에 대한 건전한 토론과는 별개로, 피해 학생의 정보를 무단으로 공개하여 상황을 악화시킨 특정 정치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담고 있습니다. 본 기자는 해당 사안에 대한 학교 당국이 내린 판단에 특정한 의견을 드러내고자 논설을 발행한 것이 아님을 독자 여러분께 분명히 밝힙니다. ※ 논설 발행 후 독자 여러분께 추가로 전합니다.본 기자와 언론사는 'DGIST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 사태' 피해 학생과 학부모에게 본 논설 발행에 대한 동의를 사전에 구했음을 독자 여러분께 알립니다.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이하 임 교육감)이 최근 있었던 ‘DGIST 입학팀 합격..

    2025.01.22

  • DGIST 입학학생처, 수시 모집 합격 통보 실수 관련 입장문 발표

    지난해 12월 26일, DGIST 입학팀은 융복합대학 수시 모집에 지원한 모 수험생에게 합격을 통보한 후 번복했다. 해당 수험생은 아주대학교에 합격한 상태였으나 DGIST 입학팀의 합격 통보 전화를 받은 후 아주대학교 등록을 포기했고, 결국 두 대학 모두에 입학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관련 기사: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로 아주대 포기, 낙동강 오리알 된 수험생… DGIST는 합격을 통한 구제 불가 입장) 금일(17일) 입학학생처가 이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입학학생처는 수시 모집 충원 합격자 통보 과정에서 발생한 잘못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전했으며, 해당 상황 발생 직후부터 책임있게 피해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또한 모든 방법과 수단을 동원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

    2025.01.17

[지면보기] 디지스트 신문 DNA 제 17호 [2024.12.02.]

지난 2024년 12월 2일에 디지스트신문 DNA가 발행한 제17호 지면신문입니다.

지면보기 2025. 2. 22. 18:35

[인사] 디지스트신문 DNA 2025년 1학기 (2월 22일)

2025년도 1학기 (2월 22일 자) ‘디지스트신문 DNA’ 인사 배정을 독자 여러분께 알립니다.  ◇ 편집장 ▲권대현◇ 부편집장 ▲노경민 ◇ 총무 ▲한주은 ◇ 교열팀 기자(팀장) ▲박재영◇ 교열팀 기자 ▲김신지 ▲김오민 ▲박건우 ▲신상은 ▲오상규 ▲이채원 ▲이상아 ▲전사빈 ◇ 발행팀 기자(팀장) ▲심수안◇ 발행팀 기자 ▲김선민 ▲박건우 ▲이채원 ◇ 지면신문팀 기자(팀장) ▲김오민◇ 지면신문팀 기자 ▲김신지 ▲박재윤 ▲한주은 ◇ 주간소식팀 기자(팀장) ▲노경민◇ 주간소식팀 기자 ▲김신지 ▲오상규 ◇ 기자교육팀 기자(팀장) ▲이상아◇ 기자교육팀 기자 ▲박재윤 ▲심수안 ▲이동규 ▲전사빈 ▲한주은

카테고리 없음 2025. 2. 22. 17:25

DGIST 학부생 출신 교수 속속 탄생… 김묘정, 유동현, 양준모 동문 연세대, 전남대, 영남대에 각각 임용

DGIST 학부생 출신 교수가 탄생했다. DGIST 학부 설립 11년차가 된 올해, 그간 국내외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받고 대학원을 졸업한 DGIST 학부 출신 학생이 오는 2025학년도 교수로 임용되는 사례가 속속 생기고 있다. ‘디지스트신문 DNA’와 홍보팀이 공동으로 확인한 결과, DGIST 대학원을 졸업한 동문이 교수로 임용된 사례는 이미 존재했으나 학부 출신 동문이 교수로 임용된 사례는 이번 ▲김묘정 동문(`14) ▲유동현 동문(`14) ▲양준모 동문(`14)이 처음인 것으로 파악됐다.연세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된 김묘정 동문은 지난 2018년 DGIST에서 학사학위를 수여받은 이후 KAIST 대학원을 거치고 미국의 시카고 대학교에서 약 1년간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전남대학교 A..

캠퍼스 2025. 2. 18. 20:57

제27회 DLS: 2024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빅터 앰브로스 교수 초청 강연

지난 10일, E7 대강당(L29)에서 제27회 DGIST Distinguished Lecture Series(DLS)이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2024년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빅터 앰브로스 교수(이하 앰브로스 교수)가 초청 강연을 하였다. 앰브로스 교수는 유전자의 전사 후 조절(post-transcriptional gene regulation)에 중요한 micro RNA(miRNA)를 발견하고 그 역할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앰브로스 교수는 ‘동물의 발달 과정을 조절하는 유전자와 분자적 메커니즘(Genes and Molecular Mechanisms Controlling Animal Development)’을 주제로 자신이 어떻게 miRNA를 발견하고 모델 생물을 통해 그 역할..

학술 2025. 2. 17. 13:53

2025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진행

2025년도 DGIST 전기 학위수여식이 금일(14일) 대학본부 컨벤션홀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를 통해 ▲박사 60명 ▲석사 72명 ▲학사 128명, 총 260명의 학생이 학위를 수여받았다. 이번 행사는 ▲학사 행렬 ▲학사 보고 ▲졸업식사 ▲학위 수여 ▲졸업생 대표 인사 ▲졸업 선서 ▲원가 제창 ▲축하공연 등 순서로 이어졌다. 바이브컴퍼니 부사장을 거친 송길영 작가가 졸업 축사를 맡았다.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

캠퍼스 2025. 2. 14. 15:03

총학생회, 일부 교과목 시간표 확정 지연에 문제 제기… 학사팀 “개선하겠다”

※   기사 정정 보도 안내지난 2025년 02월 04일, 학사팀이 제출한 언론 조정 요청을 검토한 결과, 보도 내용에서 오류를 확인해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기사 발행 전 총학생회와 소통하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관련 실무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학사팀의 공식 입장으로 잘못 보도하는 등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뒤늦게 파악하고 정정 보도합니다. 독자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 죄송합니다. 학사일정 발표 일부 교과목 시간표 확정 이 회장은 최근 학사일정 발표가 늦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학사팀에 해결 방안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일부 교과목의 시간표 확정이 늦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이에 대해 학사팀에게 문의했다.또한 총학생회는 필수 이수 과목 간 시간표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캠퍼스 2025. 1. 31. 14:17

[논설] 학생 보호보다 본인 업적 기리기?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 “DGIST 합격 통보 실수 사태” 피해 학생 정보 무단 유출 논란

※ 본 논설은 “DGIST 합격 통보 실수 사태”와 관련하여 피해 학생의 합격 여부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지 않습니다. 이 글은 사안에 대한 건전한 토론과는 별개로, 피해 학생의 정보를 무단으로 공개하여 상황을 악화시킨 특정 정치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담고 있습니다. 본 기자는 해당 사안에 대한 학교 당국이 내린 판단에 특정한 의견을 드러내고자 논설을 발행한 것이 아님을 독자 여러분께 분명히 밝힙니다. ※ 논설 발행 후 독자 여러분께 추가로 전합니다.본 기자와 언론사는 'DGIST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 사태' 피해 학생과 학부모에게 본 논설 발행에 대한 동의를 사전에 구했음을 독자 여러분께 알립니다.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이하 임 교육감)이 최근 있었던 ‘DGIST 입학팀 합격..

오피니언 2025. 1. 22. 11:29

DGIST 입학학생처, 수시 모집 합격 통보 실수 관련 입장문 발표

지난해 12월 26일, DGIST 입학팀은 융복합대학 수시 모집에 지원한 모 수험생에게 합격을 통보한 후 번복했다. 해당 수험생은 아주대학교에 합격한 상태였으나 DGIST 입학팀의 합격 통보 전화를 받은 후 아주대학교 등록을 포기했고, 결국 두 대학 모두에 입학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관련 기사: 입학팀 합격 통보 실수로 아주대 포기, 낙동강 오리알 된 수험생… DGIST는 합격을 통한 구제 불가 입장) 금일(17일) 입학학생처가 이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입학학생처는 수시 모집 충원 합격자 통보 과정에서 발생한 잘못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전했으며, 해당 상황 발생 직후부터 책임있게 피해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또한 모든 방법과 수단을 동원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

캠퍼스 2025. 1. 17. 16: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14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