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 전체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 사회
  • 문화
  • DGIST 사람들
  • 학술
  • 오피니언
  • 학생토론회
  • 지면보기
  • 포토
  • English
  • 규정
  • 분류 전체보기 (896) N
    • 사회 (369) N
    • 문화 (138) N
    • DGIST 사람들 (91)
    • 학술 (48)
    • 주간소식 (119)
    • 오피니언 (51)
    • 지면보기 (21)
    • 포토 (36)
    • English (6)
    • 디지스트신문 DNA 주최 학생토론회 (1)
    • DNA툰 (14)
      • 잡생각 (2)
      • 디지밖세상(완) (2)
      • 허니디지(완) (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대학원 졸업 늦어질까 심리적 압박 거세…’ 대학원생 대표단, 과기부 2030 자문단 간담

    지난 23일, DGIST 대학원 대표단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30 자문단(이하 자문단)과 학술정보관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자문단 측은 여러 현안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행사를 추진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노수한 대학원생 대표자(`23,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이하 노 대표자)를 비롯한 대학원생 대표단과 사전에 참석 의사를 밝힌 평 대학원생이 참석했다.이날 행사에서 대학원생 대표단과 자문단은 ▲국가 R&D 예산 ▲기초과학과 공학 간 예산 균형 ▲연구 인력 처우 개선 ▲주요 인재 유출 문제 ▲연구자 인권 문제 등 여러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대학원생 대표단은 기준 졸업 연한(학기 차수)이 지난 뒤에도 여러 사유로 졸업이 지연된 학생들이 큰 심리적 압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대표단은..

    2025.05.24

  • [포토] 제10회 달빛제, 성황리 마무리

    지난 15, 16일, DGIST가 주최하고 총학생회가 주관한 제10회 달빛제가 성황리에 진행됐다. 첫날은 ▲시간의 영화제 ▲RGB 버스킹 등 행사로 구성됐으며, 이튿날에는 ▲EPIC ▲보이스피싱 ▲디지스트 응원단 D.ONE 등 동아리 및 자치단체가 공연하며 이어졌다. 또한, ▲생활관자치위원회 ▲MP# ▲가배향 등에서 나온 학생들은 각종 체험 부스를 운영하기도 했다. 더불어 가수 쿠기와 이창섭이 초대 가수로 함께해 분위기를 달궜다. 양일간 DGIST 캠퍼스에는 비가 내렸으나 큰 사고 없이 마무리됐다. 달빛제 공연 전체 영상은 DGIST 방송국 FICS 유튜브에서 관람할 수 있다. 제10회 달빛제 속 소중한 순간을 ‘디지스트신문 DNA’가 담았다.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김나연 기자..

    2025.05.23

  • 2025년 RGB 첫 단독공연, ‘rgb.zip’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지난 12일, E7 L29에서 밴드동아리 ‘RGB’가 2025년 첫 단독공연 ‘rgb.zip’을 개최했다. 이번 콘서트에서 ‘RGB’는 ‘에잇’이나 ‘오르트 구름’처럼 익숙한 대중가요부터, ‘괴수의 꽃노래’ 같은 비교적 낯선 J-pop과 자작곡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무대를 선보였다. 공연이 끝난 후 ‘RGB’의 부장 이아윤 학생(`24)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Q. 단독공연을 무사히 마쳤는데 소감이 어떤가?각 팀이 팀원끼리 열심히 연습해서 만들어낸, 모두의 합의로 이루어진 공연이었다. 총괄을 맡은 입장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무사히 마칠 수 있어 뿌듯한 마음이다. Q. 관객인 우리가 보는 공연은 잠깐인데, 이 잠깐을 위해서 정말 많은 준비를 했을 것 같다. 그 과정이 궁금하다. 또 공연을 준비하며 힘들었던..

    2025.05.14

  • [김신지 기자의 ‘그림’일기] “딸깍”하면 다 되는 세상에서, 내 그림이 의미 있나요?

    ※ 디지스트신문 DNA 기자들이 취재 현장 안팎에서 보고 느낀 일들을 독자 여러분께 전하고자 ‘OO일기’ 칼럼 시리즈를 연재합니다.본 ‘OO일기’는 지난 2020년 배현주 전 편집장이 원내 익명성에 대해 고찰한 ‘꼰대 일기’ 칼럼에 영감을 받은 후배 기자들이 선배의 뜻을 이어받아 비정기적으로 ‘일기’ 칼럼들을 발행하며 출발했습니다. 앞으로 디지스트신문 DNA는 사소하고 즐거운 이야기부터 진지한 주제까지, 취재 현장 안팎에서 보이는 다양한 이야기에 대해 자유롭고 넓은 범위로 기자의 경험과 생각을 전하겠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때로는 가벼운 농담 거리를, 때로는 진지한 토론 거리를 던질 ‘OO일기 시리즈’가 우리 학생 사회에서 다양한 담론을 이끌기를 바랍니다. 일기 시리즈 돌아보기1. [꼰대일기] 모니터..

    2025.05.10

  • [수강신청 시리즈] 10년 넘게 이어져 온 수강 제도 문제, 학부생의 목소리 속에서 그 답을 찾다(2)

    본 기사는 ‘[수강신청 시리즈] 10년 넘게 이어져 온 수강 제도 문제, 학부생의 목소리 속에서 그 답을 찾다(1)’에서 이어집니다. 앞선 1부 기사에서는 수강 정원 부족으로 인한 학부생들의 피해가 허상이 아닌 실존하는 문제임을 고발하였다. 2부 기사에서는 수강 제도와 관련된 또다른 해묵은 논쟁들에 대해 그 현실을 진단해본다. 공감대 형성 없는 비트랙 교과목DGIST의 표준이수학점표에 따르면, 비트랙 교과목은 ‘특정 트랙에 속하지 않는 융합적인 성격’을 가진 과목으로 정의된다. 이는 DGIST의 융복합 교육 철학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 운영되고 있는 비트랙 교과목은 학부생에게 그리 공감대를 얻고 있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그 원인은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2025.05.07

  • 생명과학 & 뇌과학 복수 전공 시간표 길라잡이

    * 본 기사는 “드디어 생명과학 트랙에서 독립, "DGIST 뇌과학 트랙 신설, 다 계획이 있었죠"” 기사와 이어집니다. 이번 2025학년도 1학기 기초학부 뇌과학 트랙 신설이 생명과학 트랙 전공 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두 트랙 간에는 중복되는 과목이 많고, 뇌과학 트랙의 전공 필수 과목 수는 적기 때문에 두 트랙의 복수 전공을 고려할 만하기 때문이다. 현 교육과정상 생명과학 트랙과 뇌과학 트랙에서 중복되는 과목은 14개로, 총 42학점이다. 뇌과학 트랙의 전공 필수 과목은 ▲신경과학Ⅰ ▲신경과학Ⅱ ▲생화학Ⅰ이며, 부전공 시 생화학Ⅰ은 제외된다. 이론상 생명과학 트랙의 전공 필수 과목을 모두 수강하고 신경과학Ⅰ과 Ⅱ까지 수강한 학생이라면 생명과학과 뇌과학 복수 전공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25.05.02

  • 5월부터 통근버스 운영업체 및 결제 방식 변경… 연휴 기간 통근/셔틀버스 이용 전 확인 필수

    총무구매팀은 학내 공지를 통해 5월 1일부터 DGIST 통근(셔틀)버스 운영체계가 전면 개편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기존 용역 계약 만료에 따른 것으로, ▲운행 기사 ▲차량 ▲결제 방식 등 전반적인 시스템이 새롭게 바뀐다. 특히 5월 연휴기간(3~6일) 동안 일부 유료 순환버스를 이용할 경우, 새로운 결제 방식과 탑승 규정에 대한 사전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운행사·차량 전면 교체… 기존 관행 불가이번 용역 계약 만료에 따라 새 업체 소속 기사들이 새롭게 배정된다. 차량 역시 최근 5년 이내 등록된 차량으로 전면 교체되며, 향후 홍보팀이 제작 중인 DGIST 한글 로고 부착이 예정되어 있다.업체 변경과 함께, 기존의 비공식적인 하차 요청이나 기사 출퇴근 시 동승 요청 등 관행은 모두 불가하다. 지정..

    2025.05.02

  • [수강신청 시리즈] 10년 넘게 이어져 온 수강 제도 문제, 학부생의 목소리 속에서 그 답을 찾다(1)

    매년 반복되는 수강 신청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인 수강신청 시스템과 관련된 문제로 앞서 2024년 11월 14일자 기사(관련기사: ‘1학년 1학기복학생도신입생수강신청가능’, ‘예비수강신청일자변경’… 2025 수강신청개편)에서 심층적으로 다룬 바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DGIST 강의 수강 제도 자체에 있다.이에 디지스트신문 DNA는 기초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수강 정원 ▲강의 다양성 ▲비트랙 지정 기준 등 수강 제도의 핵심 사안에 대한 인식을 파악했다. 조사는 2025년 2월 12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진행했으며, 이번 기사에는 그 결과를 분석해 DGIST 수강 제도에 대해 기초학부생들이 체감하는 실질적인 문제점을 조명한다. 본 설문조사에는 19학번부터 24학..

    2025.04.30

‘대학원 졸업 늦어질까 심리적 압박 거세…’ 대학원생 대표단, 과기부 2030 자문단 간담

지난 23일, DGIST 대학원 대표단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30 자문단(이하 자문단)과 학술정보관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자문단 측은 여러 현안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행사를 추진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노수한 대학원생 대표자(`23,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이하 노 대표자)를 비롯한 대학원생 대표단과 사전에 참석 의사를 밝힌 평 대학원생이 참석했다.이날 행사에서 대학원생 대표단과 자문단은 ▲국가 R&D 예산 ▲기초과학과 공학 간 예산 균형 ▲연구 인력 처우 개선 ▲주요 인재 유출 문제 ▲연구자 인권 문제 등 여러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대학원생 대표단은 기준 졸업 연한(학기 차수)이 지난 뒤에도 여러 사유로 졸업이 지연된 학생들이 큰 심리적 압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대표단은..

사회 2025. 5. 24. 17:59

[포토] 제10회 달빛제, 성황리 마무리

지난 15, 16일, DGIST가 주최하고 총학생회가 주관한 제10회 달빛제가 성황리에 진행됐다. 첫날은 ▲시간의 영화제 ▲RGB 버스킹 등 행사로 구성됐으며, 이튿날에는 ▲EPIC ▲보이스피싱 ▲디지스트 응원단 D.ONE 등 동아리 및 자치단체가 공연하며 이어졌다. 또한, ▲생활관자치위원회 ▲MP# ▲가배향 등에서 나온 학생들은 각종 체험 부스를 운영하기도 했다. 더불어 가수 쿠기와 이창섭이 초대 가수로 함께해 분위기를 달궜다. 양일간 DGIST 캠퍼스에는 비가 내렸으나 큰 사고 없이 마무리됐다. 달빛제 공연 전체 영상은 DGIST 방송국 FICS 유튜브에서 관람할 수 있다. 제10회 달빛제 속 소중한 순간을 ‘디지스트신문 DNA’가 담았다. 권대현 기자 seromdh@dgist.ac.kr김나연 기자..

포토 2025. 5. 23. 21:55

2025년 RGB 첫 단독공연, ‘rgb.zip’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지난 12일, E7 L29에서 밴드동아리 ‘RGB’가 2025년 첫 단독공연 ‘rgb.zip’을 개최했다. 이번 콘서트에서 ‘RGB’는 ‘에잇’이나 ‘오르트 구름’처럼 익숙한 대중가요부터, ‘괴수의 꽃노래’ 같은 비교적 낯선 J-pop과 자작곡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무대를 선보였다. 공연이 끝난 후 ‘RGB’의 부장 이아윤 학생(`24)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Q. 단독공연을 무사히 마쳤는데 소감이 어떤가?각 팀이 팀원끼리 열심히 연습해서 만들어낸, 모두의 합의로 이루어진 공연이었다. 총괄을 맡은 입장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무사히 마칠 수 있어 뿌듯한 마음이다. Q. 관객인 우리가 보는 공연은 잠깐인데, 이 잠깐을 위해서 정말 많은 준비를 했을 것 같다. 그 과정이 궁금하다. 또 공연을 준비하며 힘들었던..

DGIST 사람들 2025. 5. 14. 22:16

[김신지 기자의 ‘그림’일기] “딸깍”하면 다 되는 세상에서, 내 그림이 의미 있나요?

※ 디지스트신문 DNA 기자들이 취재 현장 안팎에서 보고 느낀 일들을 독자 여러분께 전하고자 ‘OO일기’ 칼럼 시리즈를 연재합니다.본 ‘OO일기’는 지난 2020년 배현주 전 편집장이 원내 익명성에 대해 고찰한 ‘꼰대 일기’ 칼럼에 영감을 받은 후배 기자들이 선배의 뜻을 이어받아 비정기적으로 ‘일기’ 칼럼들을 발행하며 출발했습니다. 앞으로 디지스트신문 DNA는 사소하고 즐거운 이야기부터 진지한 주제까지, 취재 현장 안팎에서 보이는 다양한 이야기에 대해 자유롭고 넓은 범위로 기자의 경험과 생각을 전하겠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때로는 가벼운 농담 거리를, 때로는 진지한 토론 거리를 던질 ‘OO일기 시리즈’가 우리 학생 사회에서 다양한 담론을 이끌기를 바랍니다. 일기 시리즈 돌아보기1. [꼰대일기] 모니터..

오피니언 2025. 5. 10. 15:55

[수강신청 시리즈] 10년 넘게 이어져 온 수강 제도 문제, 학부생의 목소리 속에서 그 답을 찾다(2)

본 기사는 ‘[수강신청 시리즈] 10년 넘게 이어져 온 수강 제도 문제, 학부생의 목소리 속에서 그 답을 찾다(1)’에서 이어집니다. 앞선 1부 기사에서는 수강 정원 부족으로 인한 학부생들의 피해가 허상이 아닌 실존하는 문제임을 고발하였다. 2부 기사에서는 수강 제도와 관련된 또다른 해묵은 논쟁들에 대해 그 현실을 진단해본다. 공감대 형성 없는 비트랙 교과목DGIST의 표준이수학점표에 따르면, 비트랙 교과목은 ‘특정 트랙에 속하지 않는 융합적인 성격’을 가진 과목으로 정의된다. 이는 DGIST의 융복합 교육 철학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 운영되고 있는 비트랙 교과목은 학부생에게 그리 공감대를 얻고 있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그 원인은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사회 2025. 5. 7. 18:48

생명과학 & 뇌과학 복수 전공 시간표 길라잡이

* 본 기사는 “드디어 생명과학 트랙에서 독립, "DGIST 뇌과학 트랙 신설, 다 계획이 있었죠"” 기사와 이어집니다. 이번 2025학년도 1학기 기초학부 뇌과학 트랙 신설이 생명과학 트랙 전공 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두 트랙 간에는 중복되는 과목이 많고, 뇌과학 트랙의 전공 필수 과목 수는 적기 때문에 두 트랙의 복수 전공을 고려할 만하기 때문이다. 현 교육과정상 생명과학 트랙과 뇌과학 트랙에서 중복되는 과목은 14개로, 총 42학점이다. 뇌과학 트랙의 전공 필수 과목은 ▲신경과학Ⅰ ▲신경과학Ⅱ ▲생화학Ⅰ이며, 부전공 시 생화학Ⅰ은 제외된다. 이론상 생명과학 트랙의 전공 필수 과목을 모두 수강하고 신경과학Ⅰ과 Ⅱ까지 수강한 학생이라면 생명과학과 뇌과학 복수 전공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 2025. 5. 2. 17:55

5월부터 통근버스 운영업체 및 결제 방식 변경… 연휴 기간 통근/셔틀버스 이용 전 확인 필수

총무구매팀은 학내 공지를 통해 5월 1일부터 DGIST 통근(셔틀)버스 운영체계가 전면 개편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기존 용역 계약 만료에 따른 것으로, ▲운행 기사 ▲차량 ▲결제 방식 등 전반적인 시스템이 새롭게 바뀐다. 특히 5월 연휴기간(3~6일) 동안 일부 유료 순환버스를 이용할 경우, 새로운 결제 방식과 탑승 규정에 대한 사전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운행사·차량 전면 교체… 기존 관행 불가이번 용역 계약 만료에 따라 새 업체 소속 기사들이 새롭게 배정된다. 차량 역시 최근 5년 이내 등록된 차량으로 전면 교체되며, 향후 홍보팀이 제작 중인 DGIST 한글 로고 부착이 예정되어 있다.업체 변경과 함께, 기존의 비공식적인 하차 요청이나 기사 출퇴근 시 동승 요청 등 관행은 모두 불가하다. 지정..

사회 2025. 5. 2. 01:06

[수강신청 시리즈] 10년 넘게 이어져 온 수강 제도 문제, 학부생의 목소리 속에서 그 답을 찾다(1)

매년 반복되는 수강 신청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인 수강신청 시스템과 관련된 문제로 앞서 2024년 11월 14일자 기사(관련기사: ‘1학년 1학기복학생도신입생수강신청가능’, ‘예비수강신청일자변경’… 2025 수강신청개편)에서 심층적으로 다룬 바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DGIST 강의 수강 제도 자체에 있다.이에 디지스트신문 DNA는 기초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수강 정원 ▲강의 다양성 ▲비트랙 지정 기준 등 수강 제도의 핵심 사안에 대한 인식을 파악했다. 조사는 2025년 2월 12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진행했으며, 이번 기사에는 그 결과를 분석해 DGIST 수강 제도에 대해 기초학부생들이 체감하는 실질적인 문제점을 조명한다. 본 설문조사에는 19학번부터 24학..

사회 2025. 4. 30. 11:4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112
다음
  • 매체소개 | 규정 | 외부기고




디지스트신문 DNA : DGIST News & Analysis © 디지스트 신문 DNA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